죽음의 자물쇠로 변한 도어락.. 침수되면 그대로 멈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니열1 작성일23-02-28 21:52 조회491회 댓글0건본문
지난 8일 오후 9시쯤, 서울 동작구 다세대주택 반지하에 사는 김동수(30)씨는 폭우로 반지하층이 침수되자 집에서 빠져나와 70대 남성 A씨가 홀로 사는 옆집으로 향했다. 혹시라도 A씨가 집안에 꼼짝 없이 갇혔을까 염려가 돼 서다.
서울 동작구 상도동 A씨 집에 설치된 도어락의 모습(왼쪽), 도어락 고장으로 김동수(30)씨가 A씨 집 방범창을 뜯은 모습(오른쪽)/김민소 기자A씨의 집 앞에 도착하자 아직 탈출하지 못한 A씨의 비명 소리가 들렸다. 김씨는 A씨에게 현관 도어락(디지털 잠금장치) 비밀번호를 물어본 뒤 문을 열어 A씨를 구조하려 했다. 하지만 빗물에 침수된 도어락은 열리지 않고 잠긴 채 작동을 하지 않았다. 고스란히 자물쇠가 돼 버린 것이다. 김씨는 곧장 A씨 집의 창가로 돌아가 방범창을 뜯고, 싱크대 위에서 간신히 숨을 쉬고 있는 A씨를 구조했다.
침수로 도어락이 고장난 것은 김씨의 집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침수가 되면 수압 때문에 밖에 있는 사람이 현관 문을 열고 안에 있는 사람을 구조해야 하는데, 도어락이 잠긴 상태로 꿈쩍도 안 하니 탈출도, 구조도 애를 먹었다”고 말했다.
지난 8일 중부지방 집중호우로 도어락의 맹점이 드러났다. 폭우로 반지하층이 침수되면서 물에 잠긴 도어락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아 탈출이나 구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집이 침수가 되면 높은 수압 때문에 안에서 밖으로 현관 문이 열리지 않는다. 외부에서 현관 문을 열어줘야 하는데, 도어락이 작동을 멈추면 문을 열 방법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도어락을 만드는 업체 관계자들도 국내에서 판매되는 도어락 제품 대부분이 침수 대비 설계가 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서울 종로구에서 도어락 판매점을 운영하는 이모(75)씨는 “상용화된 도어락은 6~8V(볼트) 정도의 낮은 전압으로 작동해서 습도가 80%까지만 올라도 오작동이 나는 경우가 많다”며 “도어락이 침수되면 작동을 멈출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에서 도어락 업체를 운영하는 조모(35)씨도 “대다수의 도어락이 화재 피해를 대비하는 기능은 있지만, 침수 대비 설계는 되어있지 않은 상태”라며 “불이 나면 도어락이 저절로 열리듯이 침수 시 도어락이 자동으로 열리게끔 침수 대비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도어락이 침수 시에 자물쇠가 되지 않도록 설계를 보완해야 하며, 반지하층에는 이 같은 기능이 탑재된 도어락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ttp://news.v.daum.net/v/202208171501572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